숙지황의효능과 생김새,특징 한방에서 숙지황의 쓰임새등을
다양하게 알아봅니다.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지황, 회경지황의 뿌리를 술에 넣고
여러번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합니다.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하며, 숙지황중 술에
담갔다가 쪄서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을
구증숙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답니다.
숙지황은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는데요
동의보감에는 속지황효능에 대하여 부족한 혈을 보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해 주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하였습니다.
숙지황은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는데요
동의보감에는 속지황효능에 대하여 부족한 혈을 코게 보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해 주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하였습니다.
숙지황이 든 약을 먹을 때에는 무우를 삼가해야 하는데
약효가 상실되고 머리카락이 희게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라 합니다.
술,박하와 같이 쓰면 약효가 더 좋다고 합니다.
숙지황효능 중 얼굴이 창백하고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신음허로 인한 골증, 식은땀이 나는데,
소갈병,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등이 있습니다.
열기 닫기